728x90
데이터 모델링의 3단계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조직, 사용자의 데이터 요구사항을 찾고 분석한다.
어떤 자료가 중요한지 우선시 해야할 자료가 무엇인지를 결정한다.
주요활동
핵심 앤터티와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앤터티-관계 다이어그램을 작성한다.
앤터티-관계 다이어그램
조직과 다양한 DB 사용자에게 어떤 데이터가 중요한지 나타내는 것.
데이터 모델링 과정이 전조직에 걸쳐 일어난다면 전사적 데이터 모델이라고한다.
데이터 모델을 통한 조직 데이터 요구의 공식화의 2가지 중요성
1. 사용자와 시스템 개발자가 데이터 요구 사항을 발견할 수 있게 한다.
2. 개념 데이터 모델은 현 시스템을 어떻게 변형할 수 있는지 이해를 돕는다.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데이터 모델링 과정 중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으로 물리적 스키마 설계를 하기전 단계의 데이터 모델 상태이다.
인간이 결정해야할 대부분의 사항을 모두 정의하는 시스템 설계의 전 과정을 지원한다.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에서의 활동
논리 데이터 모델 상세화상세화
식별자 확정, 정규화, M:M 관계 해소 참조 무결성
정규화
논리 데이터 모델 상세화 과정에서 중요한 활동
논리 데이터 모델의 일관성 확보 및 중복을 제거하여 신뢰성있는 데이터 구조를 얻는데 목적을 둔다.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논리 데이터 모델이 데이터 저장소로서 컴퓨터 하드웨어에 어떻게 표현될 것인가를 정한다.
물리적 스키마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컴퓨터에 어떻게 저장될 것인가에 대한 정의.
계층적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환경
이러한 물리적 스키마를 설계하고 구현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모한다.
실질적으로 현실 프로젝트에서는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과 논리적 데이터 모델을 한번에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데이터 모델링 3단계를 간단하게 도식화하면 아래와 같다.
728x90
'SQLD를 위한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D] SQL 개발자 자격증 공부 메모장 여섯 번째 (0) | 2023.06.26 |
---|---|
[SQLD] SQL 개발자 자격증 공부 메모장 다섯 번째 (0) | 2023.06.25 |
[SQLD] SQL 개발자 자격증 공부 메모장 네 번째 (0) | 2023.06.24 |
[SQLD] SQL 개발자 자격증 공부 메모장 세 번째 (0) | 2023.06.23 |
[SQLD] SQL 개발자 자격증 공부 메모장 첫 번째 (0) | 2023.06.21 |